인쇄역사 > 고려시대

(1) 초기의 인쇄술

고려 인쇄술의 시초는 전북 익산군 왕궁리의 미륵사지 5층 석탑에서 발견된 《불설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금판경에 양각된 글자는 신라말의 음각 금동판보다는 진보된 기술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고려 초기의 인쇄술은 관서보다는 각 사찰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고려는 잇따른 외침을 겪는 사이에 귀중한 문화유산들이 대부분 소실되고, 불탑이나 불복 등에 간직되었던 소수의 것만이 전해오고 있다.

(2) 대장경의 판각

1) 초조 대장경 고려의 인쇄술은 초기부터 크게 발전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복송에서는 동양 최초의 거질 대장경인 《개보칙판대장경》이 판각되어 성종 10년(991)에 수입되었다. 그후 거란군이 침입하여 국토를 유린하고 온갖 만행을 저지르니, 국난으로부터 나라를 구하고자 하는 대발원과 대장경을 만들어 문화대국으로서의 위력을 떨치려는 의도에서 착수한 것이 초조 대장경의 판각사업이었다.

현존하는 초조 대장경 판본에는 간지가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현종 3년(1012)경부터 개판되기 시작하여 현종 20년경에 이르러 5천 축에 가까운 장경을 1차 완성하였고, 선종 4년(1087)에 이르러 2차 완성함으로써 총 6천여 권에 달하는 장경을 76년에 걸쳐 조조하는 대역사가 일단락되었다. 본 장경판은 대구 부근의 부인사로 이관 수장되었으나 고종 9년(1232)에 내침한 몽고병들에 의해 모두 타버리고 말았다.

2) 속장경 속장경은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만들어진 교장을 총칭한다. 홍왕사 교장사에서 간생한 속장경은 총 4천여 권에 달하였으나 거의 소멸되고 현재 일본 동대사에 40권이 남아 있으며, 글자체는 송나라의 것보다 훨씬 단정하고 판각술이 뛰어나며, 절첩인 송판과는 달리 두루마리식으로 되어 있다. 속장경의 우수성은 초조 및 재조 대장경보다 훨씬 월등한 바, 고려 조판 인쇄술의 장수라고 할 만하다.

3) 재조 대장경 재조 대장경은 고종 23년(1236)에 대장도감을 설치하고 16년간에 걸쳐 완성되었다.

본 대장경을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르는 것은 판본이 81.445장이라는 데서 기인된 것이며, 양면에 판각된 경·율·논·장소를 합한 6,778권을 인쇄하는 데 소요되는 종이는 162,890장에 달한다. 경판은 완성된 후 고려 말까지 강화 도성 밖의 대장경판당을 거쳐 선원사에 수장되었다가, 조선 태조 7년(1398) 서울 서대문밖의 지천사를 거쳐 해인사로 옮겨진 다음 오늘날가지 보관되어 오고 있다. 본 대장경판이야말로 세계적으로 널리 자랑할 수 있는 우리의 훌륭한 인쇄문화유산이며, 1995년에는 본 경판이 수장된 경판고와 함께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됨으로써 그 우수성을 세계적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3) 목판 인쇄술의 발달

1)관판 고려는 국가의 기본 이념과 내세관을 불교에 두어 국교로 우대하였지만, 치세는 유교를 바탕으로 하였다. 광종 9년(958)에는 과거제도를 실시하여 관리를 등용함에 따라 과거시험에 필요한 각종 서적들이 대량으로 필요해졌고, 이 같은 수요에 따라 중앙에서는 대장경판을 주조하는 한편 지방 관아에서는 경서 등이 많이 개관되어 인쇄 기술이 발전을 보게 되었다.

관판 인쇄는 중앙에서는 비각 즉, 비서성에서 전담하다가 후에는 서적포에서 맡아 행하였다.

반면 지방 관아에서는 동경(경주), 서경(평양) 등을 비롯하여 지방의 여러 목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려의 인쇄 정책은 후기에 이르러 지방 관아에만 의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공양왕 4년(1392)에 서적점을 원으로 승격시키고 금속활자 인쇄를 관장하는 기구와 제도를 만들어 그 기능을 크게 강화시켰다.

2) 사찰판 사찰판은 각 사찰에서 공양이나 포교를 위해 간행했거나 공덕이나 명복을 빌기 위한 신도들이 시주하여 간행된 경전, 고승의 저술, 불교의식 등에 관한 책들로 판각 인쇄술을 보급,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 간행된 《보협인다라니경》은 그 당시 사찰의 인쇄술이 얼마나 발달되었는가를 입증해 주고 있다.

인쇄기술사적인 측면에서 사찰판은 글자체나 장정의 기술도 꾸준히 발전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초기에는 주로 신라에서 계승한 사경체였으나 점차 재조 대장경의 글자체처럼 글자획의 세로와 가로가 비슷한 정방형체로 변천되면서 독특한 서체로 발전하였다. 장정 또한 중기까지는 거의 권자본이었나 그 이후는 절첩본이 등장하여 혼용되었고, 말기에는 선장본이 나타나고 있어 제책 기술의 발달된 면모를 엿볼 수 있게 한다.

3) 사가판 사가판은 고려 말기 경부터 출현하여 점차 발전하였다. 이는 사찰판의 발달에서 영향을 받고 중앙의 명령이나 권장으로 관판을 판각하여 진상하던 지방 관아의 판가기술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권문세가나 지방 문호들에 의해 스스로의 문집 등을 발간한 사가판이 생겨났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문집 중에는 이규보의 《이상국집》등과 같이 몇몇 종은 왕의 칙명에 의해 관서에서 개관된 것이지만 대다수의 문집들은 사가판본으로 생각되고 있다.

(4) 금속활자 인쇄술

1) 발명 배경 금속활자 인쇄를 위해서는 종이의 대량 생산과 먹의 생산 그리고 활자 주조 기술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들이 문종 때에 이미 성숙되어 있었다. 즉, 성종 때부터 각 집에 지전이나 지소를 두고 종이를 생산했으며, 먹의 경우도 묵소를 두어 대량으로 생산했으며, 송연먹은 중국에까지 수출도 하였다.

주조 기술 또한 신라 때부터 범종을 만드는 기술이 발달했고 고려 초기부터 활자를 주조해 낼 수 있는 전제적 요건이 갖춰져 있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금속활자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개성박물관에 각각 한 개씩이 있다. 이 중 국립중앙 박물관에 있는 금속활자는 개성에서 출토된 ‘복’자인데, 이를 흔히 ‘고려 복자’라 일컫는다. 이 활자는 고려의 금속 활자를 실증해 준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의의는 자못 크다.

2) 《직지》의 간행 고려시대의 금속활자본 중 현존하는 것으로는 청주 홍덕사에서 인쇄한 《직지》가 유일하다. 본서는 원래 상·하 두 권이었으나 상권은 전해 오지 않고 하권만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책은 프랑스의 모리스 꾸랑(Maurice Courant)이 1901년에 발행한 《한국서지》의 부록에 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이라고 처음 소개되었으나, 그 실물을 접할 길이 없었다. 그러던 중 1972년 ‘세계 책의 해’를 기념하기 위해 유네스코 주관으로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는 도서 전시회를 개최했는데, 이때 본 도서관에 근무하던 박병선 여사가 본 서를 전시회에 출품함으로써 공개되어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책은 1887년 주한 프랑스 대리공사로 서울에 근무했던 꼴랭 드 플랭시(Collin de Plancy)가 수집해 간 많은 장서 속에 들어 있던 것으로, 그 뒤 도서 수집가인 앙 리 베베르(Henri Vever)의 수중으로 보관하고 있었던 것이다. 마침내 직지는 2001년 6월 28일 청주에서 개최된 제5차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 국제자문회의에서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으로 공식인증되어 2001년 9월 4일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통제되었다.

본 서의 끝 부분에는 라는 간기가 적혀 있다. 이중 선광은 북원의 연호로 고려 우왕 3년(1377)에 해당된다. 간기에 홍덕사에서 찍었다고 되어 있으나 정확한 위치를 찾을 길이 없었는데 1985년 청주시 운천동 일대에서 택지를 조성하다가 금당지와 함께 ‘홍덕사’라는 명문이 새겨진 유물을 수습함으로써 비로소 그 위치를 확인하게 되었으며, 현재 이 곳에는 청주고 인쇄박물관이 세워져 인쇄 문화의 발상지임을 기념하고 있다. 《직지》는 《직지심경》, 《직지심채요절》등으로도 불리지만 원래의 이름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채요절》로, 백운화상(법명은 경한)이 불법을 제자들에게 전하기 위해 여러 책에서 선을 요체를 깨닫는 데 필요한 요점만을 간추려 펴낸 책이다. 이 책은 현재 금속활자본과 목판본 두 종류가 전해 오고 있다.

금속활자본은 1377년 7월에 청주 홍덕사에서 인쇄한 것 중 하권만 전해 오고, 목판본은 이듬해 여주 취암사에서 인쇄한 것으로 상·하권 모두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서를 인출한 금속활자를 어떻게 주조했는가에 대한 기록은 전혀 전해 오는 바가 없다. 현존하는 《직지》의 금속활자본은 지방의 일개 사찰에서 찍은 것이기 때문에 활자본 초기의 미숙한 성격과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우리가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 인쇄를 창안한 문화민족이었음을 널리 알렸다는 점과 13세기 전기 중앙 관서의 금속활자 인쇄가 원의 지배로 그 기능이 사실상 마비되고 말았음에도 지방의 사찰에서 금속활자 인쇄의 맥락을 이어 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은 금속활자를 세계에서 최초로 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널리 사용해 온 선구자로서 영애를 자랑할 수 있으며, 그 증거물인 《직지》야말로 우리 민족이 세계에 널리 자랑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재이다.

<출처:대한인쇄조합연합회 40년사>

 


 
회사소개 | 오늘 방문 51| 하루 평균 83| 방문 누계 309055
48932 부산 중구 복병산길61번길 3-1 (대청동1가 30-3) 동아빌딩3층 / 전화 (051)464-6626 / 팩스 (051)980-6826 / 웹하드 ip6626 / 메일 ip6626@naver.com
Copyright(c) since 2005 인쇄마당 renewal 2014년8월15일 All rights reserved